문제를 해결한 코드링크
페이징 처리의 필요성
- 성능: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로드하면 메모리 부족이나 느린 쿼리 실행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페이징 처리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작은 일부 데이터만 로드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볼 필요는 없으며, 보통은 페이지별로, 특히 최근기록 위주로 조회한다.
- 네트워크 부하 감소: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면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페이징 처리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마다 필요한 데이터만 전송해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감소 시킬 수 있다.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징 처리하기
JpaRepository는 PagingAndSortingRepository를 상속받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페이징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간단한 페이징 예제코드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Page<User> findAll(Pageable pageable);
}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Page<User> getUsers(int page, int size)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size, Sort.by("createdAt").descending());
return userRepository.findAll(pageable);
}
}
현재 페이지와 페이지에 들어갈 데이터의 양, 정렬기준을 정해서 PageRequest의 스태틱 메서드를 사용해 Pageable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JpaRepository의 파라미터로 넘겨줄 시 Page<T>
로 반환결과를 받을 수 있다
위 코드 실행시
SELECT * FROM user ORDER BY created_at DESC OFFSET ? LIMIT ?
라는 쿼리로 offset과 limit을 실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lice<T> 와 Page<T>의 차이점
위 코드는 반환타입으로 Page를 받았지만 Slice<T>
로도 페이징 처리된 객체를 받을 수도 있다.
Page<T>
와 Slice<T>
의 가장 큰 차이점은 count 쿼리가 날아가냐, 아니냐의 차이이다.
Page<T>
는 전체 페이지의 수를 포함한 페이징된 데이터를 반환한다.
즉 totalCount를 함께 조회하는 쿼리를 실행하여 결과에 포함시킨다.
게시판 형태의 페이징에 적합하다.
Slice<T>
는 limit+1을 조회하여 다음 페이지의 존재여부만 확인한다.
따라서 totalCount를 함께 조회하는 쿼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더보기, 무한 스크롤 형태의 페이징에 적합하다.
QueryDSL에서 페이징 적용하기
동적쿼리 작성을 위해 QueryDSL을 사용할 경우 쿼리 메서드 체이닝에 .offset()
과 .limit()
을 추가하여 페이징 처리를 할 수 있다.
public Page<Todo> findAll(Pageable pageable) {
// 페이징 정보를 적용하여 쿼리 실행
List<Todo> todos = queryFactory
.select(todo)
.from(todo)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fetch();
// 전체 개수를 조회
long totalSize = queryFactory
.select(todo.count())
.from(todo)
.fetchFirst();
// 페이징 처리된 결과를 Page 객체로 변환하여 반환
return new PageImpl<>(todos, pageable, totalSize);
}
return 부분은
return PageableExecutionUtils.getPage(todos, pageable, () -> totalSize);
로 유틸리티 메서드를 사용해도 된다. (내부에서 PageImpl을 생성하므로 실제 동작은 같다)
일대다 관계의 fetch join
이전글 에서 N+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queryDSL의 fetchjoin()을 사용한 기록을 남긴 적이 있다. 자세한 설명없이 코드에 distinct()를 추가했는데 이는 일대다 관계에서 fetch join할 시의 문제점 때문이었다.
- 데이터 중복 일대다 관계에서 fetch join을 사용하면 일의 엔티티와 다의 엔티티들과 조인된다. 이 때 일의 엔티티가 다의 엔티티 수만큼 중복되어 반환된다.
예를 들어 team(1)와 members(다)의 관계가 있을때
select(team)
.from(team)
.leftJoin(team.members).fetchJoin()
.where(team.name.eq("팀A"))
을 할 경우 위의 그림 처럼 일(팀)에 맞는 다의 member를 조회하기 때문에 팀이름이 중복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List<Team> teams = queryFactory
.select(team)
.distinct() // 중복된 결과를 제거
.from(team)
.leftJoin(team.members, member).fetchJoin()
.where(team.name.eq("팀A"))
.fetch();
처럼 distinct()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해 줘야 한다.
일대다 fetchJoin과 페이징 처리
그렇다면 distinct()를 사용하면 일대다 관계에서 페이징처리를 사용할 수 있을까?
distinct()는 애플리케이션단에서 중복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로 날아가는 쿼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실제로 일대다 fetch join과 페이징 처리를 같이 사용해보자.
@Override
public Page<Todo> 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pageable) {
List<Todo> fetch = queryFactory.select(todo)
.distinct()
.from(todo)
.join(todo.user, user).fetchJoin()
.leftJoin(todo.comments, comment).fetchJoin()
.orderBy(todo.createdAt.desc())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fetch();
long totalSize = queryFactory
.select(todo.count())
.from(todo)
.fetchFirst();
return PageableExecutionUtils.getPage(fetch, pageable, () -> totalSize);
}
(테스트 코드)
@Test
void pageTest() {
for (int i = 0; i < 15; i++) {
todoRepository.save(Todo.builder()
.title(TEST_TODO_TITLE)
.content(TEST_TODO_CONTENT + 1)
.user(TEST_USER)
.likeCount(0L)
.build());
}
System.out.println(todoRepository.findAll().size());
Page<Todo> found = todo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
PAGE_DTO.toPageable());
Pageable pageable = found.getPageable();
Sort sort = pageable.getSort();
// 페이지 정보
System.out.println("Sort (Sorted): " + sort.isSorted());
System.out.println("Sort (Unsorted): " + sort.isUnsorted());
System.out.println("Sort (Empty): " + sort.isEmpty());
System.out.println("Page Size: " + pageable.getPageSize());
System.out.println("Page Number: " + pageable.getPageNumber());
System.out.println("Offset: " + pageable.getOffset());
System.out.println("Is Paged: " + pageable.isPaged());
System.out.println("Is Unpaged: " + pageable.isUnpaged());
// 전체 페이지 정보
System.out.println("Total Pages: " + found.getTotalPages());
System.out.println("Total Elements: " + found.getTotalElements());
System.out.println("Is Last Page: " + found.isLast());
System.out.println("Current Page Number: " + found.getNumber() + 1);
System.out.println("Is First Page: " + found.isFirst());
System.out.println("Is Empty: " + found.isEmpty());
System.out.println("Size: " + found.getSize());
System.out.println("Number Of Elements: " + found.getNumberOfElements());
}
결과는 Pageable에서 명시한대로 페이징처리가 되지만
limit 이나 offset이 없는 쿼리가 날아감을 볼수 있고
firstResult/maxResults specified with collection fetch; applying in memory
라는 경고 메시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대다에서 다에 해당하는 컬렉션을 모두 메모리에 적재해서 가져오고 그 다음에 페이징처리를 하기 때문에 메모리에 과부하가 갈 수 있다는 뜻이다.
해결책1. 페이지네이션 쿼리와 fetch join쿼리를 나눈다
fetch join과 페이지네이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fetch join을 사용하지 않은 쿼리로 페이지네이션을 적용한 todo의 id를 쿼리하고 그 id리스트를 fetchjoin에서 in절에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public Page<Todo> 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pageable) {
JPAQuery<Long> idQuery = queryFactory.select(todo.id) //id조회
.from(todo)
.orderBy(todo.createdAt.desc())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List<Long> ids = idQuery.fetch();
JPAQuery<Todo> query = queryFactory.select(todo)
.from(todo)
.join(todo.user, user).fetchJoin()
.leftJoin(todo.comments, comment).fetchJoin()
.orderBy(todo.createdAt.desc())
.where(todo.id.in(ids)); //id로 조회
List<Todo> fetch = query.fetch();
long totalSize = queryFactory.select(todo.id.countDistinct())
.from(todo)
.fetch().get(0);
return PageableExecutionUtils.getPage(fetch, pageable, () -> totalSize);
}
id쿼리에서 페이지네이션이 적용되고
id로 fetch join을 수행할때의 where 절
하지만 해당 방법은 다른 메서드에서도 fetch join을 사용할 경우 id를 조회하는 쿼리를 따로 작성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해결책2. BatchSize적용
BatchSize는 부모 엔티티를 조회할때 연관된 자식 엔티티의 수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부모에서 자식엔티티 그래프를 탐색할때 N+1처럼 select가 부모엔티티의 수만큼 나가는게 아니라 이미 조회한 엔티티의 식별자 값을 모아서 where절에 자식 엔티티 조회 쿼리를 하나로 처리한다. 따라서 쿼리를 하나 추가함으로써 BatchSize에 명시한 만큼의 자식 엔티티를 한번에 조회할 수 있다.
BatchSize는 일대다 관계의 컬렉션에 어노테이션을 직접 명시하거나
@BatchSize(size = 100)
@OneToMany(mappedBy = "todo", cascade = {CascadeType.PERSIST,
CascadeType.REMOVE})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 new ArrayList<>();
설정 파일에 해당 설정을 추가해서 어플리케이션 전체에서 사이즈를 제한할 수도 있다
spring.jpa.properties.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100
(배치 사이즈 적용 후 쿼리)
public Page<Todo> 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pageable) {
List<Todo> fetch = queryFactory.select(todo)
.from(todo)
.orderBy(todo.createdAt.desc())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fetch();
long totalSize = queryFactory
.select(todo.count())
.from(todo)
.fetchFirst();
return PageableExecutionUtils.getPage(fetch, pageable, () -> totalSize);
}
fetch join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미 지연로딩에 대한 대비책으로 batchsize를 두었기 때문이다.
배치 사이즈 추가로 나가는 in 쿼리
마치며
이렇게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징 처리와 일대다 관계에서 페이징 처리시 주의점과 해결책을 알아보았다.
틀린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참고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김영한 저